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녀의 관심을 중심으로 다정하면서 엄격한 부모되기 책리뷰 그릿 (걷고읽고쓰고40일차)

by 그레이 맥 2022. 9. 18.
반응형

https://youtu.be/eTHXSEupWow

 책을 읽는 동안에 7년 전에 본 프랑스 엄마의 육아가 생각이 났습니다. 밥을 먹고 먹은 접시를 정리하고 자기가 놀았던 것을 정리하는 것을 배울 때는 엄마가 정말 엄격하지만 아이는 엄마가 자신을 지극히 사랑해주고 다정하다고 이야기하는 것에 정말 놀랐었습니다. 

 그런데 한국 엄마들은 아이를 깨우고 입히고 먹이고 재우고 등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육아 스트레스가 너무나다 라는 통계가 나왔었습니다. 그런데 프랑스 엄마들은 육아 스트레스를 받나요라는 질문에 스트레스를 받을 일이 있나요? 라는 역의 질문을 하는 인터뷰를 보며 정말 깜짝 놀랐었습니다. 

 무조건 아이가 원하는것을 얻게 해 주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책에서도 심리학자 래리 스타인버그 2001년 청소년 연구학회에서 말한 것을 보면 지난 40년간 면밀히 설게 된 여구마다 자녀의 심리를 이해하는 현명한 부모를 둔 아이들은 다른 양육방식으로 키워진 아이들보다 여러 면에서 앞선다는 결과를 내놓았습니다. 

  1만 명에게 부모의 행동에 대해 질문한 설문조사를 근거로 . 성이나 민족. 사회계 층등을 떠나 상관없이 다정하고 자녀를 존중하며 요구를 많이 하는 부모를 둔 청소년들이 학교 성적이 좋고 독립적이며 불안과 우울 증상이 적고 비행에 가담할 가능성도 낮았다고 합니다. 

 여기서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될 사실이  전달하려는 메시지보다 자녀가 수용하는 메시지가 더 중요하다는 점입니다. 

 따뜻한 온정을 주고 요구하는 것이 너무 과하면 트러블이 생깁니다. 저같은 경우도 아이가 물을 쏟으면 휴지를 가지고 와서 닦으라고 시키고 나머지는 자신이 쓰레기통까지 가서 버리는 것 까지를 요구 합니다. 그런데 설거지를 시키면 아마도 못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아이를 교육할때 100프로 온정만큼 특히나 아빠의 이성적인 훈육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아이가 울면 엄마는 마음이 약해지지만 저는 아이가 떼쓰고 우는 것을 아예 신경을 쓰지 않습니다. 그래서 한 번은 떼쓰고 울어서 서재에 들어가 문을 잠그고 너 마음이 추슬러지고 올바로 네가 원하는 것을 요구할 때 나갈 거야.라고 했더니 울다 지쳐서 울음을 멈추고 떼쓰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그 이후로는 저에게 때를 쓰지 않습니다. 

 영상을 보여달라. 힘드니깐 안아달라. 등등

 책에서 말하는 것처럼 아이에게 따뜻한 온정을 주는 것만큼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아주 사소한 것부터 하나의 인격이 되는 것을 자꾸 요구하는 것이 올바른 양육방식이라는 생각이 듬니다. 

 일어나서 . 양치를 하고 양말을 고르고 신고 옷을 고르 시 입고 아침밥을 먹고 먹은 것을 싱크대에 가져다 놓고 가방을 챙기고 신발을 신고 문을 열고 나가서 모르는 이웃과 마주치면 "안녕하세요"인사하고 유치원에 가서도 선생님께 반듯하게 인사하고 가는데까지 스스로 알아서 잘할 수 있도록 요구해야 하는 것이 맞다는 것을 책을 통해 다시 한번 알게 되었습니다. 

 스스로 할 수 있는 아이가 되면 양육에 대한 스트레스를 훨씬 덜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요즘 새로운 놀이학교를 보내고 있어서 리크 놀이학교라는 곳에 보내고 있습니다. 

https://youtube.com/shorts/USQH0_x9u1o?feature=share 

 

https://youtu.be/rFawcrhtMac

 

 처음인데도 적응을 잘하고 무엇보다 아이가 놀면서 배우는것에 큰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수많은 유치원 선생님과 원장님들이 여자분들인데 남자 전문가셔서 아빠들의 마음을 잘 이해해 주시고 아빠의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게 되어 좋습니다. 

 한번은 아이가 자꾸 아빠 싫어라는 말을 했는데 상담 후에 식당에서 애벌레 놀이로 소빈이는 아빠 애벌레 아빠는 소빈이 애벌레가 되어서 제가 아빠 애벌레 싫어 싫어 자꾸 했더니 아이도 그때 이후로 충격을 먹었는지 아빠 싫어라는 말을 안 하게 되었습니다. 

 교육을 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무엇보다 아이에게 무언가를 요구할 때는 아이에 시각에서 놀이의 언어로 가르쳐 주는 것이 좋네요. 아이를 기르는 모든 부모님들 힘내시고 이글이 아이를 기르는 방식과 방법에 있어 조금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좋아요와 댓글은 사랑입니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