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뇌는 피로를 느끼지 않는다.
뇌는 피로를 전혀 느끼지 않는다.
아인슈타인의 뇌와 육체노동자의 피를 보면 아인슈타인은 전혀 피로를 느끼지 않지만 육체 노동자는 피로를 느끼게 된다.
그래서 피로를 느낀는 것은 바로 태도의 문제이다.
내가 어떤 감정으로 어떤 마음을 먹었는지에 따라 피로가 느껴지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마음의 평안을 유지한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다 뇌는 피로를 느끼지 않는다. 내가 어떤 태도를 가졌느냐가 중요한 것이다.
그래서 성경에는 무릇지킬 만한 것보다 더욱더 내마음을 지키라고 했던 것이다.
그렇다 우리가 피로를 느끼는 것은 그상황에서 내가 어떤 태도를 지녔는지에 대한 것이다. 사람들은 나는 피곤해 지쳐있어. 하지만 어떤사람은 그상황속에서도 할 수 있어 잘해낼꺼야 하는 긍정적인 태도를 지켜낸다.
따라서 상황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바로 태도가 중요한 것이다.
반응형
'손이 가는데로 쓴다.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대에 흐름 (0) | 2018.11.04 |
---|---|
부자는 사치하지 않고 가치를 소비한다 (0) | 2018.07.18 |
두번째 프로포즈 (0) | 2018.05.27 |
문재인 김정은의 갑장스런 만남 한반도의 봄이오나?? (0) | 2018.05.26 |
최고의 아내 최고의 남편이 될 사람. (0) | 2018.05.25 |
내가 사는 방식 (0) | 2018.05.25 |
결혼은 등산과 같다 (0) | 2018.05.25 |
엄마 아빠를 위한 일기 (1) | 2018.05.25 |
댓글